경치좋은 절과 사찰을 찾고 계신가요?
오늘은 대한민국 경치좋은 절, 사찰 추천 TOP 5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우리나라 3대 사찰, 10대 사찰은 아래 버튼을 누르면 바로 이어집니다.
경치좋은 절 사찰 1. 경남 통도사
홍매화가 장관인 경남의 대표사찰
- 위치: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한국 3대 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있어 불보(佛寶)사찰이라고도 한다.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통도사라 이름했고(此山之形通於印度靈鷲山形),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戒壇)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했으며(爲僧者通而度之), 모든 진리를 회통(會通)하여 일체중생을 제도(濟道)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경치좋은 절 사찰 2. 경남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봉안하고 있는 법보사찰
- 위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10
불(佛), 법(法), 승(僧) 불교의 삼보 가운데,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을 담고 있는 법보사찰 해인사이다. 불보사찰 통도사, 승보사찰 송광사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사찰로 꼽히는 곳으로, 고려 때 만들어진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인 팔만대장경을 봉안하고 있다. 신라 때 지어진 절로 의상의 맥을 잇는 제자인 순응과 이정 스님에 의하여 창건된 화엄종 사찰이다. 해인사가 법보종찰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조선 태조 때로 강화도에 보관하던 대장경을 지금의 서울시청 부근에 있던 지천사로 옮겼다 다시 해인사로 옮기면서부터이다. 이후 세조와 성종 대를 거치면서 건물을 새로 짓는 등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경치좋은 절 사찰 3. 전남 송광사
승보(僧寶) 사찰
- 위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인 송광사의 모습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50여 개의 전각들이 서로를 감싸안듯 포개지는 모습을 갖고 있다. 일주문을 시작으로 중심축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여느 사찰과는 확연하게 차이가 있는 구조로 전각의 처마로 서로를 연결하여 비를 맞지 않으며 경내를 둘러볼 수 있다 하니 이곳은 사찰에 머무는 사람들을 위한 구조다.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삼보사찰 중 부처님의 분신인 승려가 있는 승보사찰이니 보물을 궂은 날씨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배려가 아닐까 싶다.
경치좋은 절 사찰 4. 서울 길상사
바쁜 걸음 쉬어가게 하는 사찰
- 위치: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2동 323
도심 안에 이렇게 청정한 공간이 있을까!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사찰이다. 삼청각, 청운각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요정으로 꼽혔던 대원각의 주인이 법정 스님의 무소유 철학에 감화를 받아 조계종 송광사의 말사로 시주하면서 아름다운 사찰로 거듭나게 되었다. 1997년에 세워졌으니 역사는 짧지만 사찰체험, 불도체험, 수련회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일반 대중들을 불교와 가깝게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침묵의 집’에서는 참선과 명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꾸며 놓았다.
또한 매달 1회씩 ‘맑고 향기롭게’라는 제목으로 선 수련회를 여는데 일반인들도 8시간 이상 참선을 하며 산사 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불교 신자가 아니라도 맑은 자연 속에 고요하게 자리한 경내를 걸으면 마음까지 맑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니 꼭 한 번 들러보자.
경치좋은 절 사찰 5. 강원 월정사
산사를 찾아가는 길
-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
세월의 무게도 한 부분을 담당하겠지만 깊은 생각과 지극한 정성이 건물이나 조형물에 담겨 더욱 깊어지는 모습은 우거진 숲 사이로 살며시 자라난 송이버섯을 보는 느낌이다. 다섯 봉우리가 연꽃무늬를 만든다는 오대산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월정사를 찾아가는 길은 하늘로 곧게 뻗은 전나무 숲이 원시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함께 자리하였던 소나무들이 그 아름다운 기세에 눌려 자리를 피했다는 이야기가 단순한 우스갯소리로만 들리지 않는 곳이다.
관동지방을 대표하는 월정사는 일주문에서 시작되는 1㎞의 전나무 숲만으로도 반드시 찾아보아야 할 가치를 가진다. 자비로운 부처님을 호위하듯 부드럽게 우거진 전나무 숲의 터널을 지나고, 천왕문과 누각 아래를 지나면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는 천 년 고찰 월정사가 나타난다. 자연보다 못한 사람들의 다툼으로 수많은 화재와 파괴의 아픔을 겪은 사찰은 옛 모습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이상으로 대한민국 경치좋은 절, 사찰 추천 TOP 5를 알아봤습니다.
대한민국 3대 사찰, 10대 사찰은 아래 버튼을 누르면 바로 이어집니다. 감사합니다.